본문 바로가기
애니어그램 타입 소개

애니어그램 2번: 헬퍼

by Enne7w8 2022. 7. 28.
728x90
•기본적인 두려움 :아무도 자신을 사랑하지 않고원하지 않는 것
•기본적인 욕구 : 사랑 받고 있다고 느끼는 것
•슈퍼에고의 메시지 : “다른 사람에게 사랑 받고 사람들과 가까이 지내면 너는 괜찮다.”
사람을 잘 돌보고 그들과 교류를 잘 하는 유형
관대함, 자신의 감정을 잘 드러냄, 사람들을 즐겁게 해줌, 소유욕 강함

 
 
 
2 유형 - 돕고자 하는 사람, 특별한 친구

  • 동정심이 남의 필요는 잘 보며 사교적.
  • 남에 대해 관대하고 다른 사람의 기분 을 잘 이해한다.
  • 사랑, 친밀감, 가족, 우정, 정에 약하다.
  • 누구나 원하는 어머니의 속성을 가지고 있다.
  • 애정과 관심을 쏟으며 생기를 불어 넣어주고 격려하며 사람을 양육한다.
  • 사람을 잘 돌보고 그들과 교류를 잘 하는 유형
  • 관대함자신의 감정을 잘 드러냄사람들을 즐겁게 해줌소유욕 강함
  • 남의 말을 잘 들어주고 상대로 하여금 아껴주는 듯한 느낌을 줌
  • 명랑하고 마음씨가 넓고 따뜻하고 공감을 잘함.
  • 상황에 대한 직관적인 파악이 빠르고 철저한 타인의식과 봉사를 자신의 자랑으로 여기며, 주도적으로 타인을 돕기를 원하고 실행하는 스타일
  • 늘 자신보다 타인을 향한 도움과 배려의 초점을 가지고 있음
  • 모임이나 여러 사람과 함께 어울릴 때 힘이 나고 활기차고,
  • 관계를 맺고 관계를 통해서 자신의 가치와 사랑을 저울질 한다.
  • 가끔은 뭔가 직접적으로 자신의 이야기를 하기보다 돌려서 말 하고 있거나 때로는 2유형의 호의적인 태도로 인해 상대방이 죄책감, 막히는 답답함을 줄 때도 있다.

 
심리적 욕구-

  • 2번 유형은 감정 중심형이다. 어떻게 느끼는지에 대한 문제를 다룬다.
  • 의식의 초점이 외부로 향하고 있어 타인들이나 사물로부터 에너지를 얻고, 외부세계에 관심이 많다.
  • 타인에 대한 공감능력이 뛰어나고 감정이입을 잘 한다. 어린 시절의 경험에 의해 타인에게 도움이 되고자 하는 심리적 욕구가 강화된다.
  • 사람들을 도울 수 있어서 좋은 사람이라는 자아상을 갖게 되며 성장하면서 자연스럽게 성격으로 고착되며 다른 사람들의 감정을 기쁘게 해줄 때 자신이 사랑 받고 있다고 느낀다.

 
2유형의 집착 

  • 2유형은 자신의 심리적 욕구에 지나치게 집착하고 자신은 사람들을 도울 수 있어서 좋은 사람이라는 자아상에 집착하면 자신의 진정한 욕구 대신에 자신은 도움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자만심의 거짓 이미지를 만들며 자신의 실제 감정과 멀어지게 된다.
  • 자신의 도움에 대해 응분의 감정적 인정을 받지 못하면 수치스러움이 상기되어 상대에게 적대감을 표현할 수 있다.
  • 다른 사람의 사생활 영역을 침범하고 지나친 간섭을 하게 될 수 있다.

 
해결과제와 조언 

  • 2유형의 심리적 해결 과제는 사랑 받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의 필요를 채워주어야 한다는 인식의 틀을 벗어야 하는 것이다. 돕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인정을 받기 위해 돕는 것이 문제가 된다.
  • 감정중심 외향성이 결합되어, 타인을 향해 탁월한 감수성을 가진 반면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기 어렵다.
  • 자신의 가치를 스스로 인정할 때 우리는 다른 사람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으며 진정한 의미의 사랑을 할 수 있게 된다.
  • 다른 사람이 아닌 자신의 욕구가 무엇인지 발견해야 한다.
  • 자신의 참된 가치를 깨달을 때, 다른 사람의 필요를 충족시켜 줌으로써 자기 자신의 참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을 때 성장한다.
  • 주변사람들은 2번 유형을 있는 그대로를 사랑해 주고  2번 유형이 홀로서기를 하는 힘겨운 시간 내내 곁을 떠나지 않고 끝까지 도와줄 때 2번 유형은 성장할 수 있다.

 
어린시절 2유형  

  • 상냥하고 친절하게 동생이나 가족들을 잘 돌보면서 칭찬 받는 아이
  • 2유형의 어린이는 생글생글 잘 웃고 붙임성이 있으며 다정다감하고, 감정이 풍부하고 순하다는 이야기를 자주 듣는다.
  •  
    자신에게 주의를 향하게 하려고 노력하느라 자신이 해야 할 일을 자주 잊는다.
  •  
    사람들에게 잘 하는 것으로 부모님을 기쁘게 하려고 한다.
  • 다른 사람의 시선을 끌려고 하는데 소모되는 에너지가 건설적인 방향으로 쓰일 수 있도록 도와줄 필요가 있다
   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
  • 비난에 민감하고, 경쟁적 분위기에선 잘 견디지 못하기 때문에  경쟁을 조성하는 그룹 과외는 피하는 것이 좋다.
  • 교사가 던지는 개인적인 말 한마디나 메모, 부모의 칭찬이 학습 동기에 큰 비중을 차지한다. 원만한 인간관계에서 학습효과가 좋다.

 

개발할 점 (더보기 눌러주세요)
더보기

 

자신에게 좋은 친구가 되기

- 분노를 알아차리고 분노를 받아들이기

- 자신이 있는 그대로 온전함을 알아차리기

- 여유로움을 즐기는 능력 기르기

- 자신에게 따스한 배려하는 마음 키우기

 
 
 
 
 
-끝- 

728x90